반응형 야담1 임완혁, 「입신 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 『고전문학연구』 38, 한국고전문학회, 2010. 과거 급제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하는 사람이 야담들을 모아 분석한 논문이다. 어떤 현실 상황에서 이것이 튀어나왔으며 어떠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는지 잘 해설하였다. 당대 서울의 권문세족이 아니면 과거를 통해서도 출세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계를 위해 혹은 입신출세하여 양반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과거를 볼 수 밖에 없었던 지방 양반들이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가 바로 상경담이었는데, 이들의 열렬한 입신 욕망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것의 실현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조우자’의 문제 해결과 그것에 대한 보은을 통해 입신하는 구조가 도출되게 되었다. 이때 상경자는 모순에 대한 인식과 함께 상승에 대한 열렬한 욕망과 그에 걸맞는 능력이 있었고, 조우자의 문제는 현실의 모순을 아주 잘 드러내.. 2024. 1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