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논문 리뷰

임완혁, 「입신 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 『고전문학연구』 38, 한국고전문학회, 2010.

by 주인 미상 2024. 12. 8.
반응형

  과거 급제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하는 사람이 야담들을 모아 분석한 논문이다. 어떤 현실 상황에서 이것이 튀어나왔으며 어떠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는지 잘 해설하였다.

  당대 서울의 권문세족이 아니면 과거를 통해서도 출세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계를 위해 혹은 입신출세하여 양반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과거를 볼 수 밖에 없었던 지방 양반들이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가 바로 상경담이었는데, 이들의 열렬한 입신 욕망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것의 실현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조우자’의 문제 해결과 그것에 대한 보은을 통해 입신하는 구조가 도출되게 되었다. 이때 상경자는 모순에 대한 인식과 함께 상승에 대한 열렬한 욕망과 그에 걸맞는 능력이 있었고, 조우자의 문제는 현실의 모순을 아주 잘 드러내며 조우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뛰어난 능력의 인물을 기다리고 있었다. 여기서 이들은 현실에서 이길 수 없는 패배자이자 소외자들로, 서로 소통과 연대를 통해 현실의 부조리한 문제를 드러내고 뛰어넘고자 했던 움직임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허구의 서사를 통해서라도 욕망을 실현하고 스스로를 위로하고자 했던 것이다.

  보은담의 구조는 관념적으로 몰락한 양반의 욕망만 투영하여 느슨한 문제 해결을 갖는다고 간단히 생각해왔으나 이 논문을 통해 당대 어쩔 수 없는 현실의 모순을 담고 있으며, 거기서 소외된 자들의 욕망과 시선이 절박하게 담겨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朝鮮後期의 현실과 입신출세의 難望

3. 입신출세의 상경 길, 그곳의 사람들

  3.1. 상경 이전 상경자의 모습

  3.2. 상경 길에 만난 사람, 그리고 상경자의 처신

  3.3. 상경 후의 현실 그리고 여행의 결과

  3.4. 낙척한 실패자의 귀향, 그 의미

4. 상경 길의 의미: 현실의 고난을 넘어 피어난 연대의 길

  4.1. 답답한 현실에서 이뤄진 소통의 길

  4.2. 욕망 실현을 위한 모색의 길

  4.3. 새로운 삶으로 향한 전환의 길

  4.4. 암울한 현실에서 낭만으로 만들어진 우회의 길.

 

KCI 링크: 

 

입신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野譚을 통해 본-

입신출세를 위해 여행하는 상경자의 모습은 낭만적 면모와 거리가 멀다. 상경자가 여행 과정에서 부딪치는 현실의 삶 또한 녹녹치 않다. 부당한 죽임을 당한 주인의 복수, 환관의 어린 아내가

www.kci.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