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인 미상의 물건들, 미상입니다.
새로 미니 PC를 들이면서 이것저것 세팅하느라 하루를 보냈다.
미니 PC를 들이게 된 이유는
1) 내가 갖고 있는 Aoostar EGPU 독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함
2) 배터리 고민 없이 시즈 모드로 쓰면서도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PC를 사용하기 위함
3) 리모트 플레이용 PC로 사용하기 위함
이었다.
그러다 보니 3)을 위해서는 공유기 설정을 이것저것 만져야 하는데, 생각보다 어려웠다.
그래도 GPT와 앞서 먼저 길을 밟고 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얼추 해결했기에
참고가 될까 몇 자 남기고자 글을 썼다.
GEM12 7840HS
우선, 내가 구매한 미니 PC는 Aoostar의 GEM12 7840HS 베어본으로,
며칠 전에 알리에 210달러 정도로 풀렸던 것을 동일한 가격에 당근에서 주워 왔다.
해당 모델의 스펙 시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모델명 | AOOSTAR GEM12 |
CPU | AMD Ryzen 7 7840HS (8코어 16스레드, 3.8GHz ~ 5.1GHz) |
GPU | AMD Radeon 780M (RDNA3, 12CU, 최대 2.7GHz) |
메모리 | DDR5 SO-DIMM 슬롯 2개, 최대 64GB (4800MHz 이상) |
저장장치 | M.2 NVMe PCIe 4.0 x4 슬롯 2개 (최대 8TB 확장 가능) |
디스플레이 출력 | HDMI 2.1, DisplayPort 1.4, USB4 (DP Alt Mode) |
eGPU 연결 | OCuLink (PCIe 4.0 x4, 외장 GPU 연결 지원) |
TDP 설정 | Silent(45W), Balanced(54W), Performance(65~75W) BIOS 선택 가능 |
전면 포트 | USB 3.2 Gen2 x2, USB4 x1, OCuLink x1, 3.5mm 오디오 잭 |
후면 포트 | USB4 x1, USB 2.0 x2, HDMI 2.1 x1, DP 1.4 x1, LAN(2.5GbE) x2, DC-in |
네트워크 | Wi-Fi 6, Bluetooth 5.2, 2.5Gbps LAN 듀얼 포트 |
전원 공급 | 19V / 6.32A (최대 120W 어댑터) |
크기 / 무게 | 130 x 130 x 60mm / 약 1.2kg |
냉각 시스템 | 듀얼 팬 + 히트파이프 기반 쿨링 |
기타(Pro 모델) | 전면 상태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센서 탑재 |
미니 PC는 7840HS와 8845HS 사이에서 고민했는데,
가격과 성능 차이를 따져보면 7840HS가 훨씬 가성비라는 생각이 들어 7840HS 모델로 선택했다.
내 생각보다는 살짝 컸지만, 그래도 크기는 만족스러웠고 디자인도 깔끔하니 좋았다.
그리하여 바로 바닥 뚜껑 따서 크루셜 5600 16G*2 박아주고 솔리다임 P44 Pro 2tb도 박아주었다.
윈도우는 11로 바로 설치해버렸다.
1080p까지 낮음~중간 정도로 그럭저럭 돌릴 수 있는 성능이었기에
간단한 작업에는 매우 빠릿빠릿하니 좋았다.
오큐링크 사용을 위한 삽질
무엇보다 내가 해당 미니 PC를 구매한 이유는 EGPU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오큐링크의 사용을 위해서다.
해당 모델과 GMK K8 PLUS와 같은 모델에는 오큐링크 단자가 포함되어 나오기 때문에
UMPC를 만지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씩 기웃기웃대 보는 것 같다.
다만, 이 오큐링크라는 게 USB4로 연결하는 것이랑은 달랐다.
USB4는 꽂기만 하면 알아서 드라이버 설치하고 연결되는데,
오큐링크는 달랐다. 뭔가 작업이 추가로 필요했다.
나의 문제는 꽂아도 내장 그래픽인 780M만 활성화되어 PC에서 모니터 출력만 될 뿐
GPU에 꽂혀 있는 DP로는 출력이 되지 않는 문제였다.
그리하여 GPT의 힘을 빌려서 해당 문제가 우선순위 때문임을 깨달았다.
다시 말해, 미니 PC의 바이오스가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중
내장 그래픽을 우선 순위에 두고 부팅을 하기 때문에 일어난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BIOS에 진입해서 iGPU(내장 그래픽)를 비활성화하면 외장 GPU가 우선 출력으로 설정되기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설정 절차 (AOOSTAR 기준)
- 부팅 직후 Delete 키 반복 → BIOS 진입
- Advanced → Chipset Configuration 또는 Graphics Settings로 이동
- 다음 항목 변경(아래의 항목명이 아닐 수 있으나 잘 찾아보면 GPU 관련 설정이 있음):
- Primary Display 또는 Initiate Graphic Adapter → PEG 또는 PCIe
- iGPU 또는 Integrated Graphics → Disabled
- F10 → 저장 후 종료
SKB 모뎀 + SKB 공유기 외부 접속 허용하도록 하는 방법
이렇게 외장 그래픽까지 물렸으니 남은 단계는
1) 문라이트 + 선샤인 설치
2)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3) WOL 설정 켜기
라고 할 수 있다.
1)이야 설치만 하면 되니 어렵지 않았으나 2)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왜냐하면 SKB 모뎀과 SKB 공유기는 그냥 설정하면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리저리 검색하였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의 상황:
SKB 모뎀----SKB 공유기--LAN--미니 PC 연결 상황
SKB 모뎀의 문제:
얘가 공유기로 들어오는 외부 접속을 다 막아버림.
이를 해결하는 방법:
1. 공유기가 아닌 모뎀에 랜선을 꽂고 이것을 PC에 연결한다.
2. 모뎀 설정에 들어간다.
모뎀의 기본 아이디는 admin이고 비밀번호는 GPON S/N의 끝 여섯 자리(대문자로 쓰기) + _admin이다.
이를 기입하여 로그인 한 뒤, 모뎀의 설정에 들어가 공유기 모드를 NAT가 아닌 Briedge(브릿지)로 변경한다.
3. 모뎀에서 랜선을 뽑고 이를 다시 PC에 꽂는다.
4. 이후 포트포워딩 및 WOL를 진행한다.
문라이트 포트포워딩과 관련하여서는 아래 블로그 참조:
[Remote] Moonlight 외부 연결 방법 (공유기 포트포워드 수동 설정 방식)
[Remote] Moonlight 외부 연결 방법 (공유기 포트포워드 수동 설정 방식)
집 밖에서도 Moonlight 접속하기 위해 공유기의 포트포워드 설정을 수동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남겨봅니다. 서론 손쉬운 외부 연결을 위해 Moonlight 개발진이 만든 'Moonlight Internet Hosting Tool'은 Geforce e
syanoe.com
이 간단한 과정만 거치면 되는 것인데, 검색 실력 및 기본 실력의 부족으로 몇 시간 가량 헤맨 사람...
추가로 SKB WOL는 활성화하고 비번 만들고
상단에 표시되는 아이피 주소로 시작되는 주소를 넣으면 외부에서도 웹으로 접속하여 켜기가 가능하다.
아래 블로그 참조:
SK 공유기 GW-ME6110으로 WOL(Wake On Lan) 설정하기
SK 공유기 GW-ME6110으로 WOL(Wake On Lan) 설정하기
올해 초에 LG 공유기로 WOL 설정하는 방법을 포스팅 했습니다만... 이사를 하면서 SK로 이동했습니다.그래서 결국 저도 WOL를 다시 설정해야해요 또르르 ㅠㅠㅠ #WOL(Wake On Lan)이란?일단 WOL이 무엇인
daepalee.tistory.com
그 외
이후로는 문라이트 + 션샤인 조합과 함께 스팀 링크를 사용하여 리모트를 즐기는 중.
다만, 스팀 링크의 경우는 포트포워딩과 같은 작업이 필요없다.
만약에 리모트를 하려는데, 뭐 알기 귀찮다 그러면 스팀 링크를 사용하는 게 가장 좋다.
문라이트 + 션샤인 쓰는 이유는 설정이 세세하고 화질과 지연시간이 적기 때문이다.
그리고 몰랐는데, 아이패드 ios의 경우는 문라이트가 외부 접속이 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VPN을 사용해야 외부 접속이 가능하다.
아래는 아이패드에 문라이트를 물려 외부 접속을 하는 방법.
✅ iPad + Windows PC Tailscale 설정 가이드
1단계. Tailscale 설치
✅ PC에 설치
- https://tailscale.com/download 접속
- Windows용 Tailscale 설치
- 실행 후 Google/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 iPad에 설치
- App Store에서 Tailscale 검색 → 설치
- iPad에서도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
2단계. 두 기기 연결 확인
- PC와 iPad에서 Tailscale 실행 후 "접속된 장치" 목록 확인
- iPad에서 PC의 Tailscale IP 주소 확인
(예: 100.98.123.45 처럼 보임)
3단계. Moonlight 설정 (iPad)
- iPad에서 Moonlight 앱 실행
- 상단에 있는 + 버튼 또는 수동 입력 추가
- 앞서 확인한 Tailscale IP 주소 입력 (예: 100.98.123.45)
- 연결 시도 → PC에 뜨는 PIN을 iPad에 입력
4단계. Sunshine 실행 (PC)
- 문라이트는 GeForce Experience가 종료된 이후, Sunshine 서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 https://sunshine-stream.github.io 접속
- Windows용 Sunshine 설치 → 실행
-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47990 접속해 게임 등록 가능
5단계. 스트리밍 테스트
- iPad에서 등록된 PC 클릭
- 원하는 게임 실행 → 진동 및 컨트롤러 기능 확인
아무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테크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팁] 바자이트 Bad shim signature, you need to load the kernel first 오류 (0) | 2025.04.30 |
---|---|
[팁] Y700 2세대 드라스틱 터치 밀림 문제, Melon DS 고해상도 사용법 (0) | 2025.04.28 |